안철수의 생각

책이란 형태로 자기의 생각을 밝히고, 그 생각에 동의한다면, 대권을 생각해보겠다는 의지로 만든 책인데, 안철수가 생각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문제점, 나아가야 할 길, 큰 줄기의 정책들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처음 책을 읽으면서는 어떻게 이렇게 내 입맛에 맞는 생각만 할까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끝부분에 가서는 왠지 모를 아쉬움이 느껴졌다. 도덕책을 읽은 듯한 느낌이라고 해야 하나? 실현 가능성, 세부적인 정책들에 대한 아쉬움 등이 마무리 부분에서는 더 크게 느껴졌다.

대통령이 누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사람, 그게 아니라면,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기틀을 닦을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제노사이드

처음 책을 열었을 때, 일본 작가가 쓴 것이고, 어디서 많이 들어본 느낌이 들고, 제노이드? 제논? 등 게임이 연상되는 제목이어서. 당연히 SF 소설인 줄 알았다.

책 중간쯤 가니, 그제야 제노사이드의 뜻이 인종청소라는 생각이 떠올랐다.

일본 소설은 링도 그렇고, 이런 종류의 과학 소설을 상당히 잘 쓴다는 느낌이 든다. 내가 잘 쓴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주제가 기발하고, 뭔가 과학적으로 철저하게 무장되어 있다는 느낌인 것 같은데, 링도 그렇고 제노사이드도 그렇고,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지?’라고 감탄했다.



두뇌게임에서 만화인 데스노트의 느낌이 살짝 났는데… 데스노트보다는 한 두수 아래인 듯하다.
다큐멘터리로 흥미롭게 본 리만 가설, 소수, 암호화 관련된 내용이 나왔는데, 그런 내용에 시간을 좀 더 할애했더라면, 더 재미있는 줄거리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다크나이트 라이즈

심은이 데리고 영화관에 갈 수는 없기 때문에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것이 정말 오래되었는데(블로그의 포스트에 영화 관련된 내용이 잘 없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휴가 기간에 장모님께서 심은이를 잠시 봐주셔서 꼭 보고 싶었던 다크나이트 라이즈를 영화관에서 보게 되었다.
 이전 다크나이트도 감탄을 하면서 봤었는데, 이번 다크나이트 라이즈도 정말 재미있게 봤다. 영화의 작품성이 좋고 나쁜 건 모르겠고 재미있으면 최고라 생각하는 내입장에서도 재미있을 뿐만 아니라 뭔가 작품성이 느껴지는 걸 보면 상당히 잘 만들어진 영화인 것 같다,
 마지막 장면에서 조셉 고든 래빗이 풀 네임을 밝힐 때… 스타워즈 1/2/3를 볼 때 아나킨을 보면서 ‘저놈이 나중에 다스베이더가 된다고~’의 누구나 알고 있는 스포일러를 외치고 싶던 기분을 다시 한번 느꼈다. 먼저 나온 후속작(?)의 미리 보기? 다시 보기?를 할 수 있다는 점도 상당한 흥미를 자아냈다.
 식스센스 때부터 발휘된 이상한 육감 때문에.. 마지막의 반전(?)에도 상당히 허탈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스토리라인 또한 정말 훌륭했다.
‘한계는 나 자신이 만드는 것’, ‘죽음 직전에 되살아나면서 깨달음을 얻고 더 강해지는 주인공’, ‘주인공과 적과의 동침(?)’, ‘주인공과 악당은 항상 1대 1 대결만 한다.’, ‘악당은 주인공을 확실하게 죽이지 않아서 나중에 낭패 본다.’ 등의 무협지 비슷한 진부한 스토리도 잘 엮어내는 감독의 능력이 대단한 것 같다. 진부한 무협지 스토리를 서양 이미지로 그려내서 좋아 보이는 것일 수도 있다.

여하튼 인셉션을 능가하는 최고의 영화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