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나쁜 사마리아인들’로 만난 장하준교수가 밝히는 ‘자유시장 자본주의’에서 이야기 해주지 않는 사실/비밀에 대한 책

 ‘나쁜 사마리아인들’이라는 책이 예전에 국방부 금서가 되면서 유명해진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전에도 ‘나쁜 사마리아인들’이 베스트셀러였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이후 내가 책을 접하게 되었으니, 나로서는 국방부(기득권층)에 고마움을 표시해야할 것 같다. 그 당시에도 책을 읽으면서 상당히 들어볼 만한 견해라는 생각이 들었고, 기존의 입장(당연하게 생각하는 것들)에서 벗어나 주변을 둘러보는 기회를 가진 것이 좋았으며, 경제학자가 자기의 견해를 바탕으로 기존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했다는 단순한 이유만으로 금서로 지정할 수 있는 그들의 뻔뻔함에 놀랐었다.
 점점 세상이라는 곳에 눈을 떠가면서 세상을 움직이는 원칙들도 알 수 있지만, 그러한 원칙들 중에는 뭔가 불합리한 것들도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의 원인을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논의의 과정에서는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어야하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좀 더 좋은 방식을 찾을 수 있고 나아가 세상은 더 낫게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장하준교수도 서문에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문제를 직시해야지 돌아가는 원리를 알 수 있으며, 그러한 원리를 모르면 우리의 권익조차 챙길 수 없다.
 경제학이라곤 중/고등학교에 배운 것이 전부인 나에게 장하준교수가 이야기하는 이러한 견해들이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들어보면 들어볼 수록 고개들 끄덕이게 된다. 장하준교수는 여러가지 사례를 통해 ‘자유시장 자본주의’는 상당 부분 틀렸으며, ‘규제’, ‘계획’, ‘균등’ 등 의 개념이 포함된 ‘자본주의’가 필요하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금융위기’가 왜 생겼을까 하는 고민을 했었고, ‘모기지’, ‘MBS’, ‘CDO’, ‘CDS’이라는 금융권의 탐욕 때문에 발생했다는 개념을 겉핥기 식으로 알고 있었는데, 그러한 금융권의 탐욕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금융권을 바라만 보고 있는 개인들, 그러한 금융권을 규제할 제대로된 장치를 만들지 못한 정부까지 금융위기가 발생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경제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돈이 가진 힘이 무섭고, 그러한 돈들이 더 많은 돈을 만들기 위해서 여기저기 유연하게 때로는 무지막지하게 움직이는 것들을 보게 되는데, ‘자본주의’가 보여준 장점과 ‘금융’이 보여준 촉매 뿐만 아니라 그러한 돈들을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규제’, ‘계획’, ‘균등’의 양념이 필요한 시대인 것 같다.

 ‘이제 불편해질 때가 왔다’는 마지막 문구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짧은 예측

유럽위기
 독일이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국민들의 이해를 이끌어내고 결단을 내릴 때 해결 될 것이다.

QE3
 QE3는 조만간 할 것이며, QE3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라 금리가 점차 상승할 것이다.

중국의 경착률
 빠른 시일 내에는 오지 않는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함께 징조가 올 것이다.

화난 원숭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화난 원숭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화난 원숭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라는 제목에서 호기심을 느껴서 읽게 된 책인데, 상당히 재미있게 읽은 것 같다. 개인적으로 장황하게 말로만 떠들기보다는 여러 가지 사례를 들면서 이야기하는 구성을 선호하는데 딱 그런 스타일의 책이다.
 저자는 조직에 존재하는 만성적인 무력감, 포기, 체념의 개념을 체득한 사람들을 화난 원숭이라고 표현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을 이모원숭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얼핏 보기엔 무슨 말인지 감이 잘 안 잡히겠지만, 화난 원숭이를 소개하는 섹션과 이모원숭이를 소개하는 섹션을 보고는 정말 잘 표현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조직 생활을 해본,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끼지만, 조직의 벽 앞에서 무기력함을 느끼고, ‘아마 안될 거야.’라는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되는 자신과 조직의 모습을 자주 마주치게 된다. 그리고 조직원 구성원 사이에서도 이타적인 생각보다는 나만의 일, 나를 돋보일 수 있는 일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된다. 하지만, SNS나 TED등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사람들은 조직 외에서는 참 이타적인 것 같다. 나 자신도 회사 일의 경우, 제일 먼저 하는 일은 이게 나의 일이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게 되지만, 외부의 일에 대해서는 도와줄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도와주려 하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패널 활동이 있는데, 경제적으로나 여러 가지를 따지면, 정말 비효율적이고, 쓸데없는 일-물론 내 기준에서만 본다면-인 것 같지만, 이득보다는 뭔가 좀 더 제대로 된 제품을 보기 위해서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보더라도, 조직의 울타리를 조금만 벗어나더라도 사람들은 이타적이 되는 것 같다.
 내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도 내부에서 보면 문제점은 많이 보이지만, 해결해야 될 부담스러운 문제점으로 보이지만, 외부에서 보게 된다면 좀 더 창의적으로 생각하게 되고,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 보이는 것 또한 사실이다.
 저자는 이런 이타적이고, 창의적인 일련의 활동들을 어떻게 퍼실리테이션할 수 있을까 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과, 이런 퍼실리테이션의 실제 사례를 보여주면서, 모든 창의성, 가능성은 개인에게 있으며, 개인들을 연결하고 있는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정말 맞는 말인 것 같다. 반드시 창의성이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에게만, 애플 같은 기업에만 있는 것은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텍스트큐브] FacebookComment 플러그인 App ID 설정

먼저 http://nanbean.net/tt/entry/텍스트큐브-FacebookComment-플러그인 을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위의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페이스북 코멘트를 사이트에 달고 나니, 해당 코멘트들이 포스트 단위로 페이스북에서 관리가 되더군요

DB 자체를 제가 관리한다면, 어느 포스트에 글이 달렸는지 알 수 있지만, 전혀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여러모로 알아보니,

페이스북에서 App ID를 이용해 해당 코멘트들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http://developers.facebook.com/tools/comments 에 접속하면,

내 사이트에 달린 코멘트 리스트들을 볼 수 있고, 삭제 등의 관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1. Facebook Developer에서 App ID 등록

2. Facebook App ID를 내 포스트에 등록

3. Facebook Comments 사이트 설정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먼저 Facebook Developer App ID 등록을 위해서는

http://developers.facebook.com/setup 에서 사이트명, 사이트URL, 언어를 설정하고 App ID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후 앱도메인, 웹사이트 등에 사용하시는 사이트, 사이트URL을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제 경우엔 nanbean.net, http://nanbean.net 으로 등록했습니다.)

앱 수정

위와 같은 형태로 수정하면 됩니다.

두번째로 Facebook App ID를 내 포스트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Version up 된 FacebookComment 플러그인을 받아서 동일한 폴더로 복사 후

환경설정에서 App ID 와 페이스북 아이디를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Facebook Comments 사이트 설정을 위해서는

http://developers.facebook.com/tools/comments 에 방문하셔서 오른쪽의 설정을 누르시고,

COMMENT 설정

와 같이 관리자를 추가해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진행하시면, Facebook 알림에서도 댓글 등록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