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산업혁명 – 제러미 리프킨

저자의 의견 요약
 기존의 석유를 기반으로 급속하게 발전한 2차 산업 혁명(석유-자동차-전기)은 한계를 보인다. 석유의 고갈, 지구온난화 등의 엔트로피를 무시하는 경제활동은 지속할 수도 없으며, 더는 위험하다. 지금의 경제 위기도 2차 산업혁명이 끝나는 시점에서 발생한 필연적인 결과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3차 산업혁명이 필요하다.
 1. 풍력/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것.
 2. 재생에너지는 중앙 집권형이 아니라 분산형으로 미니 발전소 형태로 운영할 것
 3. 재생에너지의 불규칙성을 고려하여 수소저장기술 등을 이용 에너지를 보존할 것
 4.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에너지 공유 그리드를 구성할 것
 5. 교통수단을 전기 및 연료전지로 교체하고 대륙별 스마트 그리드 상에서 사고팔 수 있을 것
등의 5가지를 3차 산업혁명에 고려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3차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생각해봐야할 것들로는
 목재에서 석탄 동력으로 석탄/증기에서 석유/전기/자동차 경제로 바뀌는데도 많은 시간이 필요했으므로 시간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3차 산업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경제의 효과 및 일자리 창출은 2차 산업의 파급 효과보다 크다.
 기존의 석탄/석유의 탄소 경제 이후에는 수소 경제가 올 것이다.(태양을 보라)
 현재는 에너지가 중앙집권형이지만 에너지 민주화(누구나 만들고 사고 팔 수 있는)가 이루어질 것이고 분산 자본주의의 시대가 올 것이다.

개인적인 의견
재생에너지 체제는 언젠가는 가야 할 방향인 것이 분명한데, 현재의 경제 위기를 봐도 그렇고, 쉽게 가기엔 힘든 경제 체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기존에도 다른 곳에서 많이 들었던, 경제 효과/환경 이론을 가지고 재생에너지 체제를 옹호하고 있지만, 사회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거나 제대로 경제효과가 입증되지 않는 한, 당분간은 요원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을 읽기 전엔 수소 경제 체제에 대해서는 상당히 회의적인 시각(현재의 수소기술로는 수소를 만드는데, 환경오염이 더 발생하고, 석유 에너지가 더 많이 사용된다.)을 가지고 있었는데, 불규칙적인 재생에너지를 보완하기 위한 에너지의 저장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수소 경제 체제가 대단한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읽는 내내, 이러한 경제 체제가 왔을 때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해봤다는 것이 이 책을 읽으면서 얻는 가장 큰 수확인 것 같다.

푸켓 클럽메드

DSC09874.JPG

인천공항에서 출발하기 전.. 도너츠 먹으면서 찍은 사진.. 잘 나왔다..ㅎㅎ

DSC09883.JPG

출발하기 전 남의 비행기(괌행 Gate이던가?) 앞에서 찍은 사진(우리는 꼬질꼬질 아시아나 탔음^^) 그런데 심은이의 저 표정은 이쁜척? 화난척?

DSC09921.JPG

비행기 연착으로 택시도 끊기고, 사기성이 가득한 택시기사와 흥정 끝에 1000밧이라는 거금을 주고 택시를 타게 되었다. 클럽메드에 도착하니 리셉션에서 잠시 기다리는 사이 준 수건, 아이스티, 물, 시원했다~

DSC09933.JPG

호텔 방에 들어서자마자 귀신놀이 + 뒹굴뒹굴을 시작하는 심은이.. 호텔 방은 그럭저럭.. 걱정했던 것 만큼 최악은 아니어서 다행있다.

DSC09949.JPG

클럽메드에서 일종의 프리패스인 리본

DSC09984.JPG

물놀이 열심히 하고..

DSC09988.JPG

우거우걱 먹어 주시고,

DSC00001.JPG

나들이도 좀 하고

DSC00022.JPG

그네도 좀 타주시고,

DSC00049.JPG

칵테일도 만들어 보고,

DSC00073.JPG

편안하게 쉬다가

DSC00107.JPG

활도 좀 쏴주시고

DSC00120.JPG

망중한도 즐겨주시고,

DSC00201.JPG

모래놀이 좀 하다가

DSC00209.JPG

또 먹어주시고,

DSC00352.JPG

또 물놀이 하다가

IMG_0044.JPG

잘 돌아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