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것의 역사

거의 모든 것의 역사

요즘엔 책들을 대부분 무작위로 접하게 되는데, ‘거의 모든 것의 역사’도 우연히 접하게 되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느끼게 되지만,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정말 다양하고, 그 내용 또한 무궁무진하다는 것과 읽으면서도 다 읽고 나서도 감탄을 금할 수 없는 책들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책도 그 두가지를 모두 만족시켜주는 멋진 책이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는 2003년에 발간된 책으로, 과학서로는 다소 오래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내가 접한 것이 늦었을 뿐이지, 한동안 베스트셀러로 유명한 책이었다. 물론 10년 사이에도 과학에는 많은 발전이 있었겠지만, 이 책에는 그 10년간의 차이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신비롭고 경이로운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작가 중에는 아주 재미없을 수도 있는 것들을 아주 흥미롭게 풀어나가는 마술 같은 능력을 갖춘 작가들이 있는데, 빌 브라이슨 또한 그러한 능력을 갖춘 작가인 것 같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가 멋진 책이라고 볼 수 있는 이유는, 과학들이 발전하는 모습을, 그리고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지는 과정을 아주 흥미롭게 알 수 있다는 점인 것 같다. 예를 들면 지구의 크기를 알아내기 위한 과학자들이 여러 가지 시도를 하는 과정이나, 결국에 어떠한 방식을 통해서 알 수 있는지, 그 과정에서 천재들의 비범함 등을 단 한 권의 책으로 바라볼 수 있다. 물론 각각의 내용을 아주 심각하게 다루지 않는다. 이러한 기술은 전체적인 흐름을 바라볼 수 있다는 장점이자 깊은 내용을 다루지 않는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장점이 더 큰 아주 바람직한 방식인 것 같다.
 책을 읽는 내내 했던 생각이, 학창 시절에 이러한 배경지식을 조금 더 알려주는 선생님이 있었더라면, 과학이라는 학문을 단순히 시험을 위한 학문보다는 좀 더 재미있는 학문으로 다가설 수 있었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었다.

 최근에 NHK의 리만 가설에 대한 다큐멘터리도 상당히 흥미롭게 봤었는데(이 다큐멘터리도 꼭 권하고 싶다), 거기에서도 만물의 법칙이 될 가능성이 있는 ‘리만 가설’과 ‘초끈이론’의 관계에 대해 나오는데, 이 책에서도 비교적 근래인 초끈 이론까지 소개할 정도로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초끈이론은 TED의 Brian Green이 아주 쉽게-물론 듣고 나서 기억나는 건 거의 없다^^;- 설명해준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는 무언가를 알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과학자들의 피나는 노력을,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어떠한 법칙을 알아냈을 때 과학자가 느꼈을 희열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게 해 주며, 그리고 그러한 법칙을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또는 우리 몸의 내부)에 대해 조금 더 알 수 있다는 것 또한 감동임을 알게 해 주는 좋은 책인 것 같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