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서 먹은 음식들

진주식당 – 전복뚝배기

 원래는 오분자기뚝배기를 먹어러 갔다가 사실인지는 모르지만 최근에는 오분자기가 잡히지 않는다고 해서 먹게 된 전복뚝배기. 해물탕과 유사한 국물에 전복이 듬뿍 넣어서 뚝배기에 나오는 음식. 전복을 많이 못 먹어본 도시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제주 별미인 듯, 전복도 큰 것 하나 정도 들어 있을 줄 알았는데, 3~4개나 들어있었다. 하지만 전복에 별 취미가 없는 나 같은 사람에겐 10,000원은 다소 부담스러운 가격인 듯. 그리고 상당히 불친절한 곳. 계산하고 ‘수고하세요’ 하면서 나가는데 ‘안녕히 가세요’ 인사 한마디 없는 싸가지! 맛도 그럭저럭 수준.

진주식당 전복뚝배기
진주식당 밑반찬

 광동식당 – 돼지두루치기

 표선 근처에 있는 음식점을 검색하다, 저렴하고 맛있고 친절한 곳으로 정평이 나서 찾아간 곳. 내비게이션으로 검색을 해서 갔는데 다소 구석진 곳에 위치하고 있고, 조금 누추한 외관에 ‘이거 들어가야 하나?’라는 고민을 잠시 했지만, 친절이란 말을 믿고 들어간 곳. 어디서 왔냐고 물어주시고 먹는 법까지 상세하게 가르쳐주시던 친절한 주인아주머니, 야채와 나물과 묵은지에 싸 먹는 고기 맛은 별미였다. 내가 아는 돼지두루치기와는 다소 다른 제주도식 돼지 두루치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곳인 듯. 가격도 무지하게 저렴한 5,000원. 양은 먹고 싶은 만큼 덜어 먹으면 되는 센스까지. 추가로 다른 테이블에 앉아 계시는 동네 아저씨들의 외계어(?)를 들을 수 있는 기회도.. 물론 한마디도 제대로 알아들을 수 없다.^^

광동식당
광동식당

 도라지식당 – 갈치조림

 제주도 최고의 별미인 듯. 큼직 큼직한 갈치, 매콤 달콤한 소스, 말이 필요 없다. 제주도 가면 무조건 먹어야 할 음식. 다만 가격은 조금 부담스러운 수준의 25,000원(小)+공깃밥 별도. 도라지 식당은 친절하고 맛도 좋아서 무조건 가라고 강추를 하겠지만. 도라지식당에 가기 전에 들린 무개념의 ‘유리네’는 비슷한 가격의 갈치조림을 먹으려고 하니 밑반찬 안 깔아준다고 밑반찬 깔려면 일반 음식류도 하나 더 시키라고 강매를 하더라는.. 쉬바 별도로 돈 받는 공깃밥은 밥도 아니냐?

도라지식당 갈치조림
도라지식당 밑반찬

 옛날 옛적 – 옛날 정식(돔베고기 + 옥돔구이)

 성산 일출봉 근처에 있는 맛집. 제주도 특유의 돔베고기와 또 하나의 제주 별미인 옥돔구이를 먹을 수 있는 곳. 돔베고기는 보쌈 비슷한 고기인데, 다시마에 둘둘 말아서 자리젓에 찍어 먹거나, 묵은지에 둘둘 말아먹으면 입에 촥촥 감겼고, 다소 부실한 옥돔구이는 고등어 이외의 새로운 생선구이의 세계를 느끼게(?) 해준 별미. 여기도 친절하게 먹는 법 상세하게 알려주고 맛도 있음. 가격은 2인 기준 30,000원.

옛날 옛적
옛날 옛적

 하영 – 흑돼지 오겹살

 제주의 별미 흑돼지는 꼭 먹어봐야 해라는 의무를 가지고 찾은 된 하영의 흑돼지 오겹살. 비계와 살의 층이 오겹이 맛긴 맞던데, 너무 부담스러운 가격 45,000원(500g)과, 진짜 흑돼지인지 전혀 알 수 없는 의심스러움, 다소 흐리멍덩한 색깔의 고기의 찝찝함, 일반 삼겹살보다 맛이 없던 어이없음까지… 너 진짜 흑돼지 맞긴 맞냐?

하영
하영

 올래국수 – 고기국수

공항 가는 길에 비행기가 지연되어 먹게 된 올래 국수, 돼지국밥과 비슷한 맛이 신기한 국수. 양은 정말 푸짐, 가격도 적당한 5,500원, 하지만 배가 불러서 제대로 먹지 못했다는.. 게다가 카메라 고장으로 사진도 없음..^^;

결혼합니다.

청첩장

오랜 시간 한 사람을 기다렸습니다.

하나 더하기 하나가 둘이 아닌 하나임을 알게 해 준 사람.

흙 속에 잠드는 그 날까지 하나로 살겠습니다.

따스한 남편, 믿음직한 사위가 되겠습니다.

현명한 아내, 사랑스러운 며느리가 되겠습니다.

서로에게 뿌리가 되어 흔들림이 없도록

믿음의 눈으로 지켜봐 주세요.

행복하게 살겠습니다..

김인수·김정순의 장남 정심

오한규·김경희의 차녀 은미

일시 : 2009년 8월 29일 토요일 낮 12시

장소 : 삼산컨벤션웨딩 2층 리젠시홀

Wedding_090731_01.jpg

해운대

해운대

 무지하게 친숙한 해운대를 배경으로 한 익숙한 느낌의 재난영화~

 최근에 국가대표와 함께 쌍두마차로 잘 나가고 있다는 해운대, 보통 ‘해운대’ 볼까? ‘국가대표’ 볼까? 고민한다는데, 나의 경우에는 ‘국가대표’를 먼저 보고 나서 ‘해운대’를 봐서인지, ‘국가대표’보다는 못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해운대도 나름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다고는 하지만, 한국 블록버스터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스토리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면이 보여서 많은 마이너스 요인이 되는 듯하다.

 무지막지하게 때려 부수기만 하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비해 전체적인 스토리의 구성은 나아 보였으나, 영화 개봉 전에 많이 이야기하던 ‘한국식 드라마가 있는 블록버스터’와는 거리가 좀 먼 것 같다. 게다가 해운대에 쓰나미가 몰아 쳤을 때 보이는 조금 말이 안 되는 이야기들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었다. 몇 가지를 꼽아 본다면..

  • 고층 빌딩 위에 있는 사람들은 다 죽었다고 나오는데, 고작 전봇대에 매달린 사람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가?
  • 물이 역류하는 것도 아닌데 엄정화가 탄 엘리베이터에는 물이 어떻게 찼을까?
  • 구조대원이 한 명 있는 것도 아니고 시계 풀고 한참 드라마를 만들 동안, 그냥 끌어올리면 되는 거 아니었나?
  • 전혀 긴장감, 공포감이 없이 도망치는 백사장의 엑스트라들
  • 빌딩도 무너지는 수준인데, 하지원의 가게는 포장만 날아간 수준 

 하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많이 우려했던 CG가 괜찮은 수준이고, 드라마도 어느 정도 있는 영화이므로, 올여름 보기에는 무난한 영화인 듯하다.

국가대표

국가대표

 각본 없는 드라마인 스포츠를 소재로 한 각본 있는 영화~

 재미있다는 입소문과 예고편의 멋진 스키점프 장면에 이끌려 보게 된 영화인데, 같은 마이너 한 스포츠를 하는 입장에서 꽤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아서 재미있게 봤다. 보는 내내 뭔가 해낼 것 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는데, 영화가 아닌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영화라서 뭔가를 해내지는 못했다.

 우리나라의 이벤트성 체육 현실에 대한 씁쓸함을 꼬집는 부분도 있는데, 그나마 스키점프야 올림픽 정식종목이라서 이런 단발성 이벤트도 기대할 수 있겠지만, 미식축구는 올림픽이 아예 불가능이기 때문에 저런 보잘것 없는 지원도 얻지 못하고 있다. 보잘것없는 단발성 이벤트라도 있는 것, 이렇게 영화로 나마 잠시 주목을 받는다는 점이 부럽다는 게 더 안쓰러운 건가?^^;

 실화임에도 약간의 각본이 추가된 듯하여 스토리가 꽤 무난했으며, 한여름에 보는 눈에 가슴이 시원해졌으며, 스키점프 장면과 절묘하게 결합된 음악은 감탄을 불러일으켰다. 한여름에 볼만한 가슴 시원한 영화인 듯하다.

오산으로 이사

사람이 살아가면서 거주지를 옮겨야 될 경우가 꽤 자주 있는 것 같은데, 이번엔 나에게도 그런 일이 생겼다. 회사의 정책 때문에 구미를 떠나서 평택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구미에서 길다면 긴 6년을 살았는데, 정이 전혀 안 붙은 신기한 도시이긴 하지만, 막상 떠난다고 하니 시원섭섭한 느낌이 들었다. 게다가 방을 얻기 위해 왔다갔다한 오산은 더 정이 안 붙을 것 같아서 걱정이었다.

 회사 이전과 더불어, 기숙사에서 탈출(?) 성공하여, 원룸 생활을 하게 되었다. 회사에서 평택 시내보다는 오산 시내가 가까운 관계로 오산에 방을 얻게 되었다. 대학교 졸업 후 다시 하게 되는 원룸 생활인데, 서식지를 옮기게 된 회사 동료들이 많은 관계로, 심란한 기분이 별로 들지 않아서 다행인 것 같다.

 고향인 울산과 멀어진다는 점, 제2의 근거지라고 볼 수 있는 대구와 멀어진다는 점, 제3의 근거지라고 볼 수 있는 부산과도 멀어진다는 점이 걸리긴 하지만, 에버랜드가 지근거리에 있다는 다소 천진난만한 생각도 있다.

 어차피 하는 일이야 똑같을 거고, 원룸 생활도 현재까지는 크게 무리가 없는 것을 봐서는 오산에서도 잘 정착할 것 같다. 정착 못한다고 해도 뽀족한 해법이 없으므로 무조건 정착을 해야 하겠지만..^^